2007년 영국 노동당 대표 선거

영국
2007년 노동당 대표 선거

← 1994년
2007년 5월 10일
~6월 24일

2010년 →

 


후보 고든 브라운
득표율 (무투표 당선)

선거전 노동당 대표

토니 블레어

노동당 대표 당선자

고든 브라운

2007년 영국 노동당 대표 선거 (2007 Labour Party leadership election)는 2007년 5월 10일부터 6월 24일까지 치러진 노동당 대표 선출 선거이다. 1994년 7월 치러진 당대표 선거에서 처음 당선되어 줄곧 당대표로 있었던 토니 블레어가 대표직을 사퇴함에 따라 본격적인 선거에 들어가게 되었다. 블레어 대표의 사퇴와 동시에 존 프레스콧 부대표도 사퇴를 표명하여, 부대표 선거도 동시에 치러지게 되었다.[1][2]

블레어 대표는 일찍이 2004년부터, 총리로서는 3선 임기까지만 역임하고 당대표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선언했기 때문에 물밑 선거전이 계속되고 있었다. 실제로 2005년 세번째 총선을 치르고 자신이 공언한 시한이 다가오자 블레어 대표는 2006년 9월 7일, 1년 내로 당대표직에서 물러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3] 이후 2007년 5월 13일 노동당 전국집행위원회는 당대표 선거 일정을 공표하였다.[4][5] 후보지명 기간은 2007년 5월 14일부터 5월 17일 12시 30분 (현지 시각)까지였다.

블레어 총리는 고든 브라운 의원이 후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훌륭한 총리가 되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블레어 총리는 당대표 선거 후보지명이 시작되자 브라운 후보를 추천하였다.[6] 이와 함께 브라운 후보가 압도적인 몰표와 더불어 블레어 총리의 뒤를 잇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대다수였다. 유일한 대적자로 거론됐던 존 맥도넬 의원은 후보추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해 본선도 거치지 못하고 패배를 인정하였다.[7] 최종 결과는 브라운 후보가 313표 (88.2%), 맥도넬 후보가 29표 (8.2%)로, 단순히 계산해봐도 브라운 후보를 이길 수 있는 후보는 전무하였다.

2007년 6월 24일 열린 특별당대회에서 브라운 후보가 신임 당대표로 선출되었음이 선언되면서 모든 선거절차가 마무리되었다. 6월 27일에는 토니 블레어가 총리직 사퇴를 발표하고, 브라운 대표가 총리직을 넘겨받았다.[8]

브라운 후보 외에 상대 후보가 존재했다면, 노동당 당원으로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차기 영국 총리를 직접 선출할 수 있는 기회였겠으나 결과적으로 실현되지 않았다.

후보

선거절차 개시 이래 후보지명 단계에서 후보로 나섰던 사람은 존 맥도넬과 고든 브라운이 유일했다. 최종경선 후보로 지명되기 위해서 각 후보는 노동당 전국집행위원회에 5월 17일까지 후보추천서를 제출해야 하며, 경선 진출을 위한 최소 조건은 노동당 국회의원 중 12.5% (후보 본인을 포함한 45인)의 추천을 받는 것이었다. 유일하게 후보조건을 만족한 브라운 후보는 2007년 6월 24일 특별당대회에서 투표 없이 당대표로 선출되었다.[9]

  • 고든 브라운 - 블레어 내각의 재무장관으로,[10] 예로부터 토니 블레어의 강력한 후계자로 거론되어 왔으며, 최종적으로 의원 313인의 추천을 받아 최종 경선에 진출하였다.[11]
  • 존 맥도넬 - 사회주의운동협회 의장으로 구노동당과 신노동당을 통합하여 진노동당 (Real Labour)를 천명하였으며 "노동당 정부 스스로를 구하자" (save the Labour government from itself)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마이클 미처 후보와의 단일화로 지지도 끌어올리기에 나섰으나 실제로 고스란히 이어지지는 않았다.[12] 경선진출 기준이었던 의원 44인 추천에서 16인이 모자란 29인에 그치면서 후보 지명에 실패하였다.[13][14][15]
  • 마이클 미처 - 전 환경 부장관 출신으로 당대표 후보로 나섰으나 의원추천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2007년 5월 14일에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2007년 4월 27일 맥도넬 후보와 함께 단일화를 선언, 토니 블레어 대표의 사퇴 시점에서 의원추천을 덜 받은 후보가 사퇴하고 상대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약속하였다.[16] 다만 5월 10일, 두 후보는 "서로의 지지도차가 거의 없다"는 이유로 단일화 시점을 연기하였다.[17] 5월 14일 미처 후보는 사퇴와 동시에 맥도넬 후보의 지지를 표명하였으나, 미처 후보의 지지 의원들이 고스란히 맥도넬 후보 지지로 넘어간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18]

후보지명과 선거 결과

후보 지역구 후보추천수 득표율 결과
고든 브라운 커콜디 카우든비스 313 88.2% 후보 지명
존 맥도넬 헤이스 할링턴 29 8.2% 후보 탈락

경선 진출 기준인 45인 의원 추천을 충족한 사람은 고든 브라운 의원이 유일했으며, 그 외의 후보가 없어 무투표로 당선되었다.

같이 보기

각주

  1. “Prescott tells Labour: I'm sorry”. 《BBC News》. 2006년 9월 28일. 2006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9월 28일에 확인함. 
  2. “Prescott quits as Deputy Leader”. 《BBC News Online》. 2007년 5월 10일. 2007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5일에 확인함. 
  3. “I will quit within a year — Blair”. 《BBC News Online》. 2006년 9월 7일. 2006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18일에 확인함. 
  4. “Labour leader election timetable”. 《BBC News》. 2007년 3월 21일. 2020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2일에 확인함. 
  5. “Blair will stand down on 27 June”. 《BBC News》. 2007년 5월 10일. 2020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0일에 확인함. 
  6. “Labour leadership contest - Gordon Brown nominators”. 《Labour Party》. 2007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 “Harman wins deputy leader contest”. 《BBC News Online》. 2007년 6월 24일. 2008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4일에 확인함. 
  8. “Queen and Government”.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20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8일에 확인함. 
  9. “Labour leadership, close of nominations”. 《Labour Party》. 2007년 5월 17일. 2007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Brown sets out leadership vision”. 《BBC News》. 2006년 9월 26일. 2020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23일에 확인함. 
  11. “Brown 'humbled' by Labour backing”. 《BBC News》. 2007년 5월 17일. 2019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8일에 확인함. 
  12. Mulholland, Hélène (2007년 5월 16일). “Brown trying to prevent contest, claims McDonnell”. 《The Guardian》 (London). 2010년 5월 7일에 확인함. 
  13. “Labour MP launches leadership bid”. 《BBC News》. 2006년 7월 14일. 2019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9월 6일에 확인함. 
  14. Oscar Reyes (2007년 5월 11일). “Challenging Brown from the Left? Meacher and McDonnell interviewed”. 《Red Pepper》. Transnational Institute. 2007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1일에 확인함. 
  15. “McDonnell short for leadership race”. 《Reuters》. 2007년 5월 15일. 2020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5일에 확인함. 
  16. “Left rivals unite to target Brown”. 《BBC News》. 2007년 4월 27일. 2007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27일에 확인함. 
  17. “Brown rivals delay bid decision”. 《BBC News》. 2007년 5월 10일. 2020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0일에 확인함. 
  18. “Brown 'faces McDonnell challenge'”. 《BBC News》. 2007년 5월 14일. 2008년 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v
  • t
  • e
영국 노동당
역사
  • 영국 노동당의 역사
  • 총선거 구호
  • 영국 사회주의운동사
  • 유럽의회노동당
  • 스코틀랜드 노동당 (1888)
  • 독립노동당
  • 노동대표위원회
  • 글래드스턴-맥도널드 밀약
  • 전국노동기구
  • 노동독립집단
  • 민주사회주의활동
  • 노자협약
  • 사회민주당 창당
    • 사인방
    • 라임하우스 선언
  • 밀리턴트 경향
  • 사상 최장의 유서
  • One more heave
  • 신 노동당
  • 토니의 친구들
  • 청노동당
  • 한나라노동당
  • 차크라바티 사문회
지도부
(* = 전시, 야당
/ ^ 과도, 대행)
당대표
부대표
서기장
  • 램지 맥도널드
  • 아서 헨더슨
  • 제임스 미들턴
  • 모건 필립스
  • 레너드 윌리엄스
  • 사라 바커^
  • 해리 니콜라스
  • 론 헤이워드
  • 짐 모티머
  • 래리 휘티
  • 톰 소여
  • 마거릿 맥도나
  • 데이비드 트라이스먼
  • 맷 카터
  • 피터 와트
  • 레이 콜린스
  • 이언 맥니콜
  • 제니 폼바이
  • 데이비드 에반스
회계
귀족원내대표
  • 리처드 할데인 자작
  • 찰스 크립스 파무어 남작
  • 아서 폰슨비 슐브레데 남작
  • 헤리 스넬 남작
  • 크리스토프 애디슨 자작
  • 윌리엄 조윗 백작
  • 앨버트 빅터 알렉산더 힐스버러 백작
  • 프랭크 페이큰엄 롱퍼드 백작
  • 에드워드 섀클턴 남작
  • 맬컴 셰퍼드 남작
  • 프레드 피어트 남작
  • 클레드윈 휴즈 클레드윈 펜로스 남작
  • 아이버 리처드 남작
  • 마거릿 제이 패딩턴 여남작
  • 개레스 윌리엄스 모스틴 남작
  • 발레리 아모스 여남작
  • 캐서린 애슈턴 업홀랜드 여남작
  • 재닛 로이얼 블레이스던 여남작
  • 안젤라 스미스 바즐던 여남작
스코틀랜드
노동당대표
  • 도널드 듀어
  • 헨리 맥리시
  • 캐시 제이미슨^
  • 잭 맥도넬
  • 캐시 제이미슨^
  • 웬디 알렉산더
  • 캐시 제이미슨^
  • 이언 그레이
  • 조한 라몬트
  • 아나스 사어워^
  • 짐 머피
  • 이언 그레이^
  • 케지아 더그데일
  • 알렉스 롤리^
  • 재키 베일리^
  • 리처드 레너드
원내노동당주석
유럽의회
노동당주석
  • 마이클 스튜어트
  • 존 프레스콧
  • 바바라 캐슬
  • 알프 로마스
  • 데이비드 마틴
  • 배리 실
  • 글린 포드
  • 폴린 그린
  • 웨인 데이비드
  • 앨런 도넬리
  • 사이먼 머피
  • 개리 타이틀리
  • 글레니스 윌모트
  • 리처드 코르벳
내부선거
당대표 선거
  • 1922년
  • 1931년
  • 1932년
  • 1935년
  • 1955년
  • 1960년
  • 1961년
  • 1963년
  • 1976년
  • 1980년
  • 1983년
  • 1988년
  • 1992년
  • 1994년
  • 2007년
  • 2010년
  • 2015년
  • 2016년
  • 2020년

부대표 선거
  • 1952년
  • 1953년
  • 1956년
  • 1959년
  • 1960년
  • 1961년
  • 1962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1976년
  • 1980년
  • 1981년
  • 1983년
  • 1988년
  • 1992년
  • 1994년
  • 2007년
  • 2015년
  • 2020년
그림자내각 선거
  • 1931년 9월
  • 1931년 11월
  • 1932년
  • 1933년
  • 1934년
  • 1935년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51년
  • 1952년
  • 1953년
  • 1954년
  • 1955년
  • 1956년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1961년
  • 1962년
  • 1963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1973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2010년
당조직
제휴단체
직능조직
  • 청년노동당
  • 노동당 인터내셔널
  • 성소수자노동당
  • 학생노동당
  • BAME 노동당
파벌조직
  • 노동당민주화운동
  • 좌파기독교인
  • 컴퍼스 싱크탱크
  • 페이비언 협회
    • 청년 페이비언
  • 미래영국
  • 중도좌파 풀뿌리 동맹
  • 유대노동당운동
  • 선거개혁을 위한 노동당 캠페인
  • 노동당 CND
  • 노동당 이스라엘 정우회
  • 노동당 팔레스타인과 중동 정우회
  • 노동당 아일랜드인 협회
  • 노동대표위원회 (2004년)
  • 레이버리스트
  • 모멘텀
  • 노동사회주의클럽전국연합
  • 프로그레스
  • Socialist Appeal
  • 사회주의보건협회
  • 사회주의교육협회
  • 사회주의환경자원협회
  • 사회주의캠페인그룹
  • 국제사회주의청년동맹
  • 사회주의자협회
  • 『트리뷴』
가맹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