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남자부 및 여자부 전체에 대해서는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문서를, 동일 성격의 남자부 경기에 대해서는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EAFF E-1 サッカー選手権 2017
개최국일본의 기 일본
개최기간12월 8일 ~ 12월 15일
참가팀 (1개 대륙)
경기장본선 지바
예선 홍콩・데데도
결과
3위중국 중국
4위 대한민국
통계
최다 득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윤미
최우수 선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윤미
« 2015
2019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여자 동아시안컵의 제6회 대회이다. 2017년부터 여자 동아시안컵 대회의 공식 명칭이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서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남자부 대회와 여자부 대회의 공식 명칭과 로고를 달리 했던 이전 대회들과 달리 2017년부터는 양 대회의 공식 명칭과 로고를 하나로 통합하였다. 동일한 성격의 남자부 경기로는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가 있다.

대회는 1라운드, 2라운드 및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1라운드는 괌에서 2016년 6월 29일부터 2016년 7월 3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3개국이 출전하였고, 1차례의 리그전을 거친 결과 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라운드홍콩에서 2016년 11월 8일부터 2016년 11월 14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치렀고, 그 결과 대한민국이 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결승 대회일본에서 2017년 12월 8일부터 2017년 12월 15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하였고, 대한민국은 2라운드를 통과하여 결승 대회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참가국

2016년 3월 25일에 발표된 FIFA 랭킹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10개국이 1라운드, 2라운드 및 결승 대회에 배정되었다. 대회의 각 단계에서 우승한 국가는 다음 단계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2라운드 1라운드


1라운드

1라운드에서 2016년 6월 29일부터 2016년 7월 3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3개국이 출전하였고, 1차례의 리그전을 거친 결과 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경기장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1라운드는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에서 열렸다.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괌 데데도
수용인원: 5,000명


대회 순위

  2라운드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괌 6 2 2 0 0 10 0 +10
2 마카오 마카오 1 2 0 1 1 0 5 -5
3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1 2 0 1 1 0 5 -5

마카오 마카오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는 승점, 득실차, 다득점, 상대 전적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었다. 이에 따라 징계 기록(경고 및 퇴장)을 기준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마카오 마카오는 경고 0개, 퇴장 0개를 받은 반면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는 경고 2개, 퇴장 0개를 받았다. 이에 따라 더 적은 징계를 받은 마카오 마카오가 2위를, 더 많은 징계를 받은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가 3위를 기록했다.


일정 및 결과


1차전
2016년 6월 29일
17:00 UTC+10
괌 5 – 0 마카오 마카오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존슨 12분에 득점 12′
코프먼 18분, 48분에 득점 18′48′
서버 22분에 득점 22′
페레즈 42분에 득점 42′
리포트

2차전
2016년 7월 1일
17:00 UTC+10
마카오 마카오 0 – 0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리포트

3차전
2016년 7월 3일
17:00 UTC+10
괌 5 – 0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
서버 30분, 74분에 득점 30′74′
코프먼 43분에 득점 43′
윌터 44분에 득점 44′
페레즈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수상 내역

득점상 MVP
괌 (No.5) 서맨사 코프먼
괌 (No.9) 페이지 서버
괌 (No.5) 서맨사 코프먼

2라운드

2라운드홍콩에서 2016년 11월 8일부터 2016년 11월 14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치렀고, 그 결과 대한민국이 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경기장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2라운드는 홍콩홍콩 FC 경기장(홍콩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홍콩 FC 경기장
홍콩 홍콩
수용인원: 2,750명


대회 순위

  결승 대회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대한민국 9 3 3 0 0 36 0 +36
2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6 3 2 0 1 13 10 +3
3 홍콩 홍콩 3 3 1 0 2 1 19 -18
4 괌 0 3 0 0 3 1 22 -21


일정 및 결과


1차전
2016년 11월 8일
11:30 UTC+8
괌 0 – 13 대한민국 홍콩 FC 경기장, 홍콩
심판: 이란 시바 야리
리포트 정설빈 9분, 23분, 33분, 48분에 득점 9′23′33′48′
문미라 15분, 26분에 득점 15′26′
이민아 40분, 79분에 득점 40′ (페널티)79′
강유미 55분에 득점 55′
장슬기 61분에 득점 61′
이금민 64분에 득점 64′
권은솜 71분에 득점 71′
조소현 86분에 득점 86′
2016년 11월 8일
14:30 UTC+8
홍콩 홍콩 0 – 5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홍콩 FC 경기장, 홍콩
심판: 베트남 꽁티중
리포트 린야한 6분, 19분에 득점 6′19′
미셸 파오 31분에 득점 31′
리슈친 64분에 득점 64′
천옌핑 87분에 득점 87′

2차전
2016년 11월 11일
11:30 UTC+8
홍콩 홍콩 0 – 14 대한민국 홍콩 FC 경기장, 홍콩
심판: 우즈베키스탄 예디타 미라비도바
리포트 이금민 11분, 70분, 72분에 득점 11′70′72′
이영주 19분, 56분에 득점 19′56′
이민아 23분에 득점 23′ (페널티)
이현영 28분, 54분에 득점 28′54′
웡소한 35분에 득점 35′ (자책골)
최유리 61분에 득점 61′
청웨이키 66분에 득점 66′ (자책골)
권은솜 69분에 득점 69′
장슬기 75분에 득점 75′
이소담 84분에 득점 84′ (페널티)
2016년 11월 11일
14:30 UTC+8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8 – 1 괌 홍콩 FC 경기장, 홍콩
심판: 일본 가지야마 후사코
라이리친 2분, 42분에 득점 2′42′
리슈친 29분에 득점 29′
미셸 파오 39분에 득점 39′
린야한 40분, 82분, 85분에 득점 40′82′85′
위슈징 47분에 득점 47′
리포트 서버 12분에 득점 12′

3차전
2016년 11월 14일
11:30 UTC+8
홍콩 홍콩 1 – 0 괌 홍콩 FC 경기장, 홍콩
심판: 베트남 꽁티중
청웨이키 13분에 득점 13′ 리포트
2016년 11월 14일
14:30 UTC+8
대한민국 9 – 0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홍콩 FC 경기장, 홍콩
심판: 일본 가지야마 후사코
이민아 13분에 득점 13′
강유미 18분, 66분에 득점 18′66′
장슬기 37분에 득점 37′
이금민 39분에 득점 39′
정설빈 60분에 득점 60′
문미라 68분에 득점 68′
최유리 78분에 득점 78′
조소현 81분에 득점 81′
리포트

수상 내역

득점상 MVP
대한민국 (No.11) 정설빈
대한민국 (No.17) 이금민
중화 타이베이 (No.6) 린야한
대한민국 (No.10) 이민아

결승 대회

결승 대회일본에서 2017년 12월 8일부터 2017년 12월 15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하였고, 대한민국은 2라운드를 통과하여 결승 대회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결승 대회는 일본후쿠다 전자 아레나(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홈구장)에서 열렸다.

후쿠다 전자 아레나
일본 지바
수용인원: 19,781명


선수 명단

대회 순위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 3 3 0 0 5 0 +5
2 일본 6 3 2 0 1 4 4 0
3 중국 중국 3 3 1 0 2 3 4 -1
4 대한민국 0 3 0 0 3 3 7 -4


일정 및 결과


1차전
2017년 12월 8일
16:10 UTC+9
중국 중국 0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관중: 1,201명
심판: 미얀마 테인 테인 에이
리포트 김윤미 24분, 78분에 득점 24′78′
2017년 12월 8일
18:55 UTC+9
일본 3 – 2 대한민국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관중: 3,080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케이트 제이스위츠
다나카 8분에 득점 8′
나카지마 71분에 득점 71′
이와부치 83분에 득점 83′
리포트 조소현 14분에 득점 14′ (페널티)
한채린 80분에 득점 80′

2차전
2017년 12월 11일
16:10 UTC+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대한민국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관중: 1,514명
심판: 이란 마흐사 고르바니
김윤미 18분에 득점 18′ 리포트
2017년 12월 11일
18:55 UTC+9
일본 1 – 0 중국 중국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관중: 3,163명
심판: 베트남 꽁티중
다나카 20분에 득점 20′ 리포트

3차전
2017년 12월 15일
16:10 UTC+9
대한민국 1 – 3 중국 중국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관중: 950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예디타 미라비도바
강유미 85분에 득점 85′ 리포트 왕산산 18분에 득점 18′
장루이 35분에 득점 35′
런구이신 90분에 득점 90′
2017년 12월 15일
18:55 UTC+9
일본 0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관중: 5,227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케이트 제이스위츠
리포트 김윤미 65분에 득점 65′
리향심 82분에 득점 82′

우승국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제6대 동아시아 챔피언 (3회 우승)
2013년2015년2017년

최종 순위

순위 국가 경기 승점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3 0 0 5 0 +5 9
2 일본 3 2 0 1 4 4 0 6
3 중국 중국 3 1 0 2 3 4 -1 3
4 대한민국1 3 0 0 3 3 7 -4 0
▲ 결승 대회 진출
5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3 2 0 1 13 10 +3 6
6 홍콩 홍콩 3 1 0 2 1 19 -18 3
7 괌 2 3 0 0 3 1 22 -21 0
▲ 2라운드 진출
8 마카오 마카오 2 0 1 1 0 5 -5 1
9 북마리아나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2 0 1 1 0 5 -5 1
▲ 1라운드 진출
  1. 2라운드에서 우승한 대한민국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2. 1라운드에서 우승한 괌 의 경우 2라운드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수상 내역

최우수 경기 팀상 최우수 경기 선수상 최우수 골키퍼상 최우수 수비수상 득점상 MVP
대한민국 일본 (No.11) 다나카 미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18) 김명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15) 김남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12) 김윤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12) 김윤미

기록과 통계

선수 득점 기록

4골 득점득점득점득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윤미
2골 득점득점 일본 다나카 미나
1골 득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리향심
일본 나카지마 에미
일본 이와부치 마나
중국 런구이신
중국 왕산산
중국 장루이
대한민국 강유미
대한민국 조소현
대한민국 한채린


팀 득점 기록

5득점 성공성공성공성공성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득점 성공성공성공성공 일본
3득점 성공성공성공 중국 중국
대한민국


팀 실점 기록

무실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실점 실패실패실패실패 일본
중국 중국
5실점 실패실패실패실패실패실패실패 대한민국

트리비아

  • 당해 대회에서 "최우수 경기 선수상(Best Duel Player Award)"과 "최우수 경기 팀상(Best Duel Team Award)"이 신설되었다. 최우수 경기 선수상은 태클, 드리블, 제공권 싸움 및 파울 등에서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준 선수에게 수여하며,[1] 초대 수상자로는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다나카 미나 선수가 선정되었다.

각주

  1. “S. Korean footballers dominate individual awards at regional tournament”. 연합뉴스. 2017년 12월 16일. 

외부 링크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1라운드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라운드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결승 대회
  • v
  • t
  • e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종합 대회
친선 대회
  • v
  • t
  • e
일본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국가급
종합경기대회
올림픽
패럴림픽
월드 게임
아시안 게임
동아시안 게임
유니버시아드
스페셜 올림픽
개별경기대회
동계스포츠
  • 1977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83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1984년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85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86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93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9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97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00년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2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4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4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 2005년 피겨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
  • 2007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여자 컬링 선수권 대회
  • 2008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9년 피겨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
  • 2013년 4대륙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13년 피겨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
  •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15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19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2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수영
야구
육상
축구
탁구
핸드볼
농구
  • 1971년 ABC 아시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79년 ABC 아시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82년 ABC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91년 ABC 아시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94년 ABC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95년 ABC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99년 ABC 아시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1999년 ABC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2004년 FIBA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 2006년 FIBA 세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2007년 FIBA 아시아 남자 농구 선수권 대회
  • 2011년 FIBA 아시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배구
  • 1967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77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1977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1981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1981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1983년 AVC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83년 AVC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85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1985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1989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1989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1990년 FIVB 배구 월드리그
  • 1991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1991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1993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남자 배구
  • 1993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여자 배구
  • 1995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1995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1997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1997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남자 배구
  • 1997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여자 배구
  • 1998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98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1999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1999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2001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남자 배구
  • 2001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여자 배구
  • 2003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2003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2005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2005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남자 배구
  • 2005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여자 배구
  • 2006년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2006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2007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2007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2008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2009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남자 배구
  • 2009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여자 배구
  • 2010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2010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2011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2011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2013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2013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남자 배구
  • 2013년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여자 배구
  • 2014년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
  • 2015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2015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
  • 2018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유도
  • 1956년 세계 남자 유도 선수권 대회
  • 1958년 세계 남자 유도 선수권 대회
  • 199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200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2010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사이클
  • 1990년 세계 도로 자전거 선수권 대회
검도
  • 1970년 세계 검도 선수권 대회
  • 1979년 세계 검도 선수권 대회
  • 1997년 세계 검도 선수권 대회
  • 2015년 세계 검도 선수권 대회
풋살
배드민턴
프로급
육상
축구
야구
풋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