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MS

LMMS
LMMS 1.2.1의 스크린샷. 인터페이스 기능을 표시하고 있다.
원저자Paul Giblock
Tobias Doerffel[1]
개발자Tobias Doerffel
Paul Giblock
Danny McRae
Javier Serrano Polo
발표일2004년 (Linux MultiMedia Studio라는 이름으로 출시)
안정화 버전
1.2.2[2] / 2020년 7월 4일; 2020년 11월 9일
저장소
  • github.com/LMMS/lmms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프로그래밍 언어C++
운영 체제크로스 플랫폼: 윈도우, GNU/리눅스, OS X
플랫폼x86, x86-64
언어20개 언어[3]
종류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라이선스GPLv2[4]
상태개발 중
웹사이트lmms.io

LMMS(이전 명칭: Linux MultiMedia Studio)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소프트웨어이다. LMMS가 적절한 하드웨어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소리 합성, 샘플 정렬, MIDI 키보드의 재생, 또 트래커, 시퀀서, 신시사이저의 기능 병합을 통해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다. 리눅스 오디오 개발자의 심플 플러그인 API(LADSPA), 사운드폰트 (SF2) 파일, 버추얼 스튜디오 테크놀로지 (VST) 플러그인을 지원한다.[4] GNU GPL 버전 2(GPLv2)로 출시되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다.

소프트웨어 개요

시스템 요구사항

LMMS는 GNU/리눅스, OpenBSD, OS X, 윈도우를 포함하는 여러 운영 체제를 지원한다. 1 GHz의 CPU, 512 MB의 , 2채널 사운드 카드가 필요하다.[5]

프로그램 기능

Skiessi – C64
LMMS으로 만들어진 짧은 칩튠 서식의 음악 샘플, 프로그램의 MOS 테크놀로지 SID 에뮬레이터의 기능을 시연.

이 파일을 듣기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LMMS는 SF2 포맷의 사운드폰트들과 GUS 패치들을 수용한다. 또, MIDI, 하이드로젠, FL 스튜디오 프로젝트(FLP) 파일들을 가져올 수 있다. 게다가 커스터마이즈된 프리셋, 샘플, 테마를 읽고 쓸 수도 있다.[6] 오디오는 주로 MIDI, OGG, WAV 포맷으로 내보낼 수 있으며,[7] 프로젝트들은 .mmp 또는 .mmpz 파일 포맷으로 저장된다.

차기 업데이트

버전 1.2.0은 현재 프리릴리스 버전이지만 이 마일스톤 업데이트는 거의 완전한 상태로, 풀 릴리스 중 96%가 준비된 상황이다.[8]

플러그인

편집기

  • Song Editor – 멜로디 작곡
  • Beat+Bassline Editor – 비트, 베이스라인 작성
  • FX mixer – 개수 제한 없이 FX 채널 믹싱[9]
  • Piano Roll – 패턴 및 멜로디 편집
  • Automation Editor

신시사이저

  • BitInvader – 웨이브 table-lookup synthesis
  • Kicker – 킥 & 베이스 드럼 신시사이저
  • LB302 – 롤랜드 TB-303 모방
  • Mallets
  • Monstro
  • Nescaline – NES 신시사이저
  • Organic – 오르간 신시사이저
  • OpulenZ
  • FreeBoy – 게임보이 오디오 처리 장치(APU) 에뮬레이터
  • SID 에뮬레이터 – 코모도어 64 칩 에뮬레이터
  • Triple oscillator
  • Vibed
  • Watsyn
  • ZynAddSubFX 프리셋

샘플

표준

같이 보기

  • 음악 소프트웨어 목록

각주

  1. http://alternativeto.net/software/lmms---linux-multimedia-studio/
  2. “1.2.2 Latest”. 2020년 7월 4일. 2023년 7월 8일에 확인함. 
  3. “LMMS – Currently supported languages”. 2017년 6월 21일에 확인함. 
  4. “LMMS – Linux MultiMedia Studio”. SourceForge. 2011년 5월 17일에 확인함. 
  5. “보관된 사본”. 2017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25일에 확인함. 
  6. Dave Phillips (2009년 8월 17일). “LMMS: The Linux MultiMedia Studio”. Linux Journal.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7. “LMMS Sound Editing Software”. Software Insider. 2011년 3월 3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8. “LMMS 1.2.0 Milestone”. 《Github》. 2017년 7월 17일에 확인함. 
  9. “Release 1.1.0-RC4”. 《Github》. 2017년 8월 19일에 확인함. 
  • Dave Phillips (2008년 10월 1일). “State of the Art: Linux Audio 2008, Part II”. 《Linux Journal》. 2009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LMMS
  • LMMS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 LMMS Wiki, for documentation, tutorials, and help.
  • LMMS Facebook Group
  • LMMS Google+ Group
  • LMMS SoundCloud Group Archived 2016년 8월 21일 - 웨이백 머신
  • LMMS Sharing Platform
  • v
  • t
  • e
오디오 편집 소프트웨어
자유-오픈 소스
  • Ardour
  • 오다시티
  • Ecasound
  • 그놈 웨이브 클리너
  • Jokosher
  • LMMS
  • MusE
  • Qtractor
  • Rosegarden
  • SoX
  • Sweep
  • Traverso
  • 웨이브서퍼
사유
파산
  • 어도비 사운드부스
  • BIAS Peak
  • 엔소닉 PARIS
  • 로직 익스프레스
  • 로직 스튜디오
  • 레코드
  • SoundDroid
  • SoundEdit
  • 사운드스케이프 디지털 테크놀로지
  • 사운드스케이프 R.Ed
  • 사운드트랙 프로
  • TC 웍스 스파크
같이 보기
  • 디지털 오디오 편집기 비교
  • 오디오용 자유 소프트웨어 비교
  • 음악 소프트웨어 목록
  • 리눅스 오디오 소프트웨어 목록
  • MIDI 편집기 및 시퀀서 비교
  • 비교
  • 분류 분류
  • v
  • t
  • e
자유-오픈 소스
  • Ardour
  • LMMS
  • MusE
  • Qtractor
  • Rosegarden
  • Traverso
사유